김범석 쿠팡 대표가 ‘스프링캠프 2018’에 참석, 축사를 하고 있다.

 

“쿠팡에선 기술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든 분야에 기술이 중심에 있다. 밖에서는 쿠팡을 ‘쿠팡맨’으로 기억하지만, 그 뒤에는 쿠팡의 기술, 그 뒤에는 오픈소스가 있다.”

 

김범석 쿠팡 대표가 21일 서울 잠실 쿠팡 사옥에서 열린 ‘2018 스프링캠프(Spring Camp)’에 깜짝 등장했다. 스프링캠프는 국내 최대 스프링 프레임워크 사용자 커뮤니티인 한국스프링사용자모임(KSUG)이 주관하는 행사다. JVM(Java Virtual Machine) 기반 백엔드 시스템, 또는 서버사이드 영역을 개발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개발자가 한 곳에 모여 IT기술과 정보,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는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쓰는 전국 300여 명의 개발자가 모였다.

 

이날 김 대표의 등장은 예정되어 있던 일은 아니다. 자리에 있던 쿠팡 직원들도 “김범석 대표가 직접 올지는 몰랐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깜짝 방문은 쿠팡이 오픈소스 진영을 최대 파트너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행보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밖에서는 (쿠팡을) 쿠팡맨이 대표하지만, 그 뒤에는 쿠팡의 기술이 있고 또 그 뒤에는 오픈소스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쿠팡이 얼마나 오픈소스의 도움을 받고 컸는지 알려야 했다”며 “쿠팡에서 왜 개발자 행사를 후원하는지, 또 쿠팡에 왜 이리 많은 개발자가 필요한지를 설명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는 “쿠팡에선 기술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모든 분야에 기술이 중심에 있다”며 물류를 예로 들었다. 예컨대 미국 오프라인 유통 채널의 대표적 모델이 월마트다. 월마트는 통상 12만개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고, 이를 45일만에 소진한다. 일년에 8번의 재고 회전이 생기는데, 월마트 전에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12만개에 달하는 물건의 수요 예측을 한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쿠팡은? 김 대표에 따르면 쿠팡은 수백만개 가짓수의 4000억개 이상 재고를 한 달 만에 소진한다. 일 년이면 열두 번의 재고 회전이 생겨난다. 그는 “시즌별 수요 예측은 물론, 각 물류센터에 얼마만큼의 물건을 보낼지까지도 모두 계산해야 한다”며 “몇 분 단위로 재고와 배송의 조합을 빨리하는 기술 예측으로 전통적인 트레이드 오프 시스템을 깬 것인데 이 기술은 쿠팡 혼자 만든 것이 아니다”라며 오픈소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쿠팡을 만든 것은 8할이 기술이고, 그 뒷배경엔 오픈소스가 있다는 설명이다. 쿠팡은 이날 ‘테크 블로그’를 신설,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밀접한 관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전국 300여 명의 개발자가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재훈 쿠팡 개발자가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를 도입하며 겪은 경험담을 공유하기도 했다. 정 엔지니어는 2013년 9월 쿠팡 플랫폼에 조직에 입사한 쿠팡의 7번째 멤버로, 쿠팡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쿠팡은 지난 2015년 초에 자체기술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를 완성했다. 지난해 9월에는 국내서는 처음으로 대규모 클라우드 이전에 성공하기도 했다.

 

정 개발자는 이 자리에서 쿠팡이 지난 5년간 국내에서 단일 서비스로서는 가장 큰 MSA를 구축하면서 어떤 도전들이 있었고, 그 도전들을 어떻게 풀어 나갔는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MSA는 쿠팡 같은 서비스를 아주 작은 단위의 모듈(마이크로 서비스)로 잘게 쪼개, API를 통해 연결해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레고블록을 조립하듯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정 개발자는 수백 개의 마이크로 서비스(micro-service)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한 서비스 플랫폼이 무엇인지, 그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를 발견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설명했다.

 

정재훈 쿠팡 개발자. 쿠팡의 일곱번째 멤버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그는 쿠팡이 기술 조직으로 성장하며 겪은 변곡점을 크게 세 가지로 꼽았다. 첫째가 PHP에서 자바로 서비스를 변환시킨 것이고 둘째가 모놀리틱(Monolithic) 아키텍처에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로 변화이며, 마지막 세번째가 전사 서비스를 클라우드로 이관한 것이다...[더보기] 

 

[원 문] https://byline.network/2018/04/23-9

[출 처]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