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타(PaaS-T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주도로 만든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오픈소스 기반으로 제작한 만큼 국내 기업 누구나 파스-타를 활용해 상용 제품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파스-타가 최신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하지 않아 효용성에 의문이 든다는 지적이 나온다. 100억원이 넘는 정부 예산을 투입해 만든 파스-타지만, 지나치게 느리게 작동하는 등 기술력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국내 SW 시장 보호를 위해 만든 것이지만, 오히려 오히려 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도구라는 평가도 있다.

NIA 측은 일부 시장에서 제기되는 파스-타 관련 잡음에 대해 경계하는 모습이다. 이해관계자가 모두 만족하는 솔루션을 만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일부 지적은 사실을 왜곡한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파스-타 이미지 / 파스-타 홈페이지 갈무리

 

13일 SW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수년간 일부 사업 공고를 통해 파스-타 사용을 강제했다. 민간 기업이 자체적으로 만든 SW로 경쟁할 기회를 차단했다.

 


파스-타 쓰면 제품 무거워진다?
 

NIA는 파스-타 개발을 위해 연간 30억원쯤을 투입하는 등 생태계 확대에 주력했다. 2019년부터 2020년 중반까지 공공기관이 공고한 일부 클라우드 사업 관련 제안요청서를 보면, 파스-타 관련 요건이 적시돼 있다. 공공 클라우드 사업을 하는 기업은 의무적으로 파스-타를 사용해야 했다. 일부 PaaS 기업 사이에 정부가 SW 산업에 과도하게 개입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국내 한 SW 기업 관계자는 "파스-타는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최신 쿠버네티스(구글의 오픈소스 컨테이너 플랫폼)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생태계 기술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오래 되고 무거운 클라우드 파운드리(CF) 계열의 기술로 만들어졌다"며 "파스-타 기반으로 공공 분야 클라우드 플랫폼이 구축될 경우, 몇 년 안에 무겁고 잘 사용되지 않는 또 하나의 레거시 시스템이 돼 버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산 클라우드 시장이 약하다고 이를 공공이 주도하는 것이 시장 성장에 효과를 줄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며 "정부가 파스-타 확산 및 지원에 나설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을 독자 기술로 개발한 기업의 공공 분야 진출은 어렵고, 이는 국가적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파스-타의 도입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파스-타에 개발에 참여한 기업들은 이같은 주장에 온도차를 보인다. 오히려 외산 업체와 대항하는 토종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등 긍정적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과거에는 쿠버네티스 기술 지원이 안 됐지만 지금은 버전 업데이트를 통해 기술적 경쟁력을 끌어올렸다는 점도 부각했다.

NIA는 2016년 4월에 처음 파스-타 공식버전인 1.0 스파게티를 공개했고, 2021년 2월 새로운 버전인 파스-타 5.5 세미니를 출시했다. 파스-타 5.0 버전부터는 쿠버네티스를 지원했다.

파스-타 사업에 참여 중인 한 기업 관계자는 "입찰에 참여하지 못한 일부 기업이 훼방을 놓고 있다"며 "파스-타를 비난하는 제품은 기술력이 부족해 호환에 문제가 있거나 기업이 독자적으로 판매하는 것인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파스-타의 기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에는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진행한 파스-타 관련 레퍼런스도 많다"며 "파스-타는 오픈시프트 같은 외산에 대한 방어벽 역할을 해주고 있으며, 정부에서 만든 제품이 국내 제품을 침해한다는 것은 1차원적인 접근이다"고 말했다.  [기사 더보기]

 


[출처 : IT Chosun(http://it.chosun.com/)]

[기자 : 류은주 기자(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