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 공유회 개최

 

[아이티데일리] 지난해 7월 우리 정부는 코로나19가 불러온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1년이 지난 지난달 23일 정부는 디지털 뉴딜 1주년을 기념해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 공유회’를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그 동안의 디지털 뉴딜 성과와 사례, 그리고 향후 계획 등이 발표됐다.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 공유회’를 소개한다.

 


“디지털 뉴딜로 디지털 르네상스 선도 국가될 것”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 공유회’는 문용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의 환영사로 문을 열었다. 문용식 원장은 “어느덧 디지털 뉴딜 1주년을 맞이했다. 디지털 뉴딜은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사업이라고 생각한다. 한 마리는 일자리 창출이며, 나머지 한 마리는 혁신 성장이다. 디지털 뉴딜은 한국판 뉴딜의 가장 대표적인 사업이자 중심축이다. 디지털 뉴딜이 성공해야 한국판 뉴딜이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용식 NIA 원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디지털 문화가 꽃피우는 디지털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디지털 르네상스를 선도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출처: 과기정통부)

문용식 NIA 원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디지털 문화가 꽃피우는 디지털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디지털 르네상스를 선도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출처: 과기정통부)

 

이어 “이미 디지털 뉴딜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 AI, 데이터, 클라우드 등 산업 분야에서 수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졌으며, 모든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의 변곡점을 만들어냈다. 디지털은 특정 산업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 국가사회 모든 분야와 결합하는 보편적인 범용 기술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디지털 문화가 꽃피우는 디지털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디지털 르네상스를 선도하는 국가가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개회사가 이어졌다. 임혜숙 장관은 “1년이라는 기간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민간의 폭넓은 참여로 초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우선 디지털 뉴딜은 경제의 버팀목이 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 등 17만 개사가 참여하며 코로나19로 어려워진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약 9만 명이 참여하며 고용 시장도 활성화됐다. 2020년 데이터 시장은 전년대비 14.4% 증가한 19.3조 원으로 크게 성장했다. 디지털 경쟁력도 8위로 상승했다. 디지털 혜택을 온 국민이 누리고 있다. 국민비서 등 400여개 공공 서비스가 디지털화되고, 모바일 건강 관리 서비스를 35,000여명에게 제공하는 등 국민 체감 서비스가 늘어났다”고 강조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는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포용성과 혁신성을 강화한 진화하는 ‘디지털 뉴딜 2.0’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출처: 과기정통부)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는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포용성과 혁신성을 강화한 진화하는 ‘디지털 뉴딜 2.0’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출처: 과기정통부)

 

이어 “초중고 교실에 무선 인터넷망이 구축했으며, 주민센터 및 도서관 등 디지털 배움터를 통해 약 48만 명의 국민들에게 디지털 역량 교육을 제공하는 등 디지털 접근성을 개선했다. 정부는 이같은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진화하는 디지털 뉴딜 2.0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임혜숙 장관에 따르면,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바탕으로 민간 주도형 활용을 강화할 계획이다. 디지털 댐, 5G 고속도로 등의 인프라를 민간 영역에서 활용토록 하고, 민간 클라우드 퍼스트와 같은 민간 주도 혁신이 나타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들째, 디지털 뉴딜의 주요 프로젝트가 전지역, 모든 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지역과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대규모 확산 사업을 추진하고, 디지털 트윈도 촉진시킬 계획이다.

 

셋째, 글로벌 진출과 신산업 육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메타버스, 사물인터넷 등 초연결, 초실감 산업을 적극 육성한다. 마지막으로 인재육성과 디지털 포용도 대폭 확대한다. SW중심 대학,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등을 통해 디지털 인재 12만 명을 양성하고, 디지털 배움터를 바탕으로 디지털 포용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기사 더보기]

 

 

[출처 : IT DAILY(https://www.itdaily.kr/)]

[기자 : 권정수 기자(kjs0915@itdaily.kr)]